본문 바로가기
DB (DataBase) (국비)/DB 이론

Database (DB)

by Hwanii_ 2023. 6. 7.
728x90

1.

데이터베이스 (Database, DB)란 ?

: 데이터의 저장소.

 

: 데이터베이스에는 일상생활 대부분의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된다.

: 서로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세지, 인스타그램에 등록한 사진,

버스 또는 지하철 에서 찍은 교통카드 등의 정보가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된다.

 

2.

DB (데이터, 정보, 자료) 를 다루는 시스템 == DBMS.

 

3.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란 ?

: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MySQL, Oracle(오라클), ...

 

: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여러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 해야 한다.

 

예시)

은행의 예금 계좌를 생각 해보자. 수많은 사람들이 계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예금 계좌 정보를 모아 놓은 것이 데이터베이스 이다.

그런데, 이 예금 계좌 데이터베이스에는 여러명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계좌 주인, 은행 직원, 인터넷 뱅킹, ATM, .. 모두 접근이 가능한것을 떠올리면 된다.

이렇게 동시 접근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DBMS가 있기 때문이다.

 

4.

실무에서 DBMS가 변경되는 일이 매우 자주 발생 한다.

: 본인은 앞으로 MySQL 과 오라클을 둘다 공부할 예정이므로,

이후 팀프로젝트 등에서 DBMS를 변경할 예정.

 

5.

★ 중복 데이터가 없는 DB ★

서버 비용이 절감 된다.

영업 이익이 증가 된다.

 

6.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열(column) 과 행(row) 으로 구성한

"테이블"로 정리하며, 고유키(primary key)가 각 행을 식별 한다.

 

1) 열 (column, 속성, 필드, attribute)

: 멤버변수, 인스턴스 변수 (VO) 로 생각하면 된다.

: 각 열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며, 자신만의 타입을 가진다.

: 열은 필드 (field) 또는 애트리뷰트 (attribute) 라고도 한다.

 

2) 행 ( row, tuple (튜플), record (레코드) )

: 관계된 데이터의 묶음을 의미한다.

: 한 테이블의 모든 행은 같은 수의 열을 가진다.

: 행은 튜플 (tuple) 또는 레코드 (record) 라고도 한다.

 

3) 테이블

: 열과 행 값들의 모음을 나타낸다.

: 도메인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그룹화 해놓은 것을 의미.

 

위와 같이 열과 행으로 거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집합을 "테이블" 이라고 한다.

 

아이디 이름 연락처
a1b1c1 토끼 010-1234-5678
a2b2c2 사슴 010-1234-5678
a3b3c3 다람쥐 010-1234-5678
a4b4c4 고양이 010-1234-5678

 

 

 

 

7.

이렇게, 테이블간의 '관계' 가 형성 되었을 때, 이러한 테이블간의 관계를

ERD 라고 한다.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설계시 ERD를 잘 그리는것이 매우 중요 하다 !

반응형

'DB (DataBase) (국비) > DB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DBC  (0) 2023.06.08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0)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