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장에서, 웹 페이지에 CSS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1.
[ CSS 문법 ]
와 같이 있다면,
a는 선택자를 의미 한다.
(Selector)
>> 이 웹 페이지의 모든 a태그를 선택한다는 의미로 선택자라고 한다.
color : blue; 는 선언 했다. 라고 말할 수 있다. 또는 효과라고도 한다.
(번역의 차이.. 표현법의 차이. 중요하지 않음)
(Declaration)
>> 선택자가 지정한 태그에 대해 어떤 효과를 줄 것인가를 보여주는 부분을 선언 했다 라고 한다.
color는 속성이다.
(Property)
>> color 속성을 의미한다. 속성은 굉장히 다양 하게 존재 한다.
red는 값이다. 속성값이라고 할 수 있다.
(Value)
>> 속성에 대한 값을 속성값 이라고 한다. == 프로퍼티의 값
2.
앞으로 웹 페이지를 디자인 하기 위해
어떠한 프로퍼티 == 속성
이 존재하는지를 확인 하자.
또한,
효과를 어떻게 더 정확하게 선택해서 지정하기 위해서
선택자를 어떻게 사용할것인지를 확인 하자.
다양한 선택자가 존재한다.
3.
이미지와 같은 상황일 때,
WEB을 가운데로 옮기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가운데 정렬
그러면 WEB이라는 텍스트가 이 웹 페이지에서 어떤 태그인지를 알아야 한다.
아하, h1 태그 내부에 있구나 를 알 수 있다.
그러면 <style> 태그 내부에서, h1 선택자를 통해서 꾸미면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근데, 여기서 가운데 정렬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생각해 봐야 하는데,
앞에서 개념에 대해서 공부를 했기 때문에, 검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검색을 해보니, 정렬은 align 이였다.
text-align : center; 을 적으면 가운데 정렬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위의 이미지 처럼 WEB 이라는 텍스트를 가운데로 정렬할 수 있게 된다.
4.
검색을 잘 활용 하도록 하자.
원하는 속성이 있다 == 내가 어떤 속성을 사용할지 알기 때문에,
구글에 검색을 통해서 속성을 스스로 알아내면 된다.
검색어 예시)
css text size property
css text center property
..
'생활코딩 HTML + CSS + 자바스크립트 > CS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박스 모델 (0) | 2023.07.01 |
---|---|
07 CSS 선택자의 기본 (1) | 2023.07.01 |
04 CSS의 기본 문법 (0) | 2023.06.25 |
03 CSS의 등장 (0) | 2023.06.25 |
01 수업 소개 ~ 02 CSS가 등장하기 전의 상황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