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코딩 HTML + CSS + 자바스크립트/자바스크립트 이론

06 데이터 타입 - 문자열과 숫자

by Hwanii_ 2023. 7. 10.
728x90

1.

자바스크립트에는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이 존재 한다.

 

그중에서, 문자와 숫자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정리 해보려고 한다.

 

데이터 타입 이란 ?

 

Data Type == 자료형 이라고도 한다.

 

2.

자바스크립트에는 6개의 데이터 타입이 있고, 객체 (Object) 가 있다.

 

1) Boolean

 

2) Null

 

3) Undefined

 

4) Number

 

5) String

 

6) Symbol

 

and Object

 

3.

경고창에 숫자 표현 하기.

 

 

 

 

 

하지만 숫자를 나타낼 때, 굳이 경고창 (alert) 를 통해 나타낼 필요가 없다.

 

 

콘솔창에 이렇게 입력하고, 엔터키를 입력하면 숫자 2가 출력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숫자를 의미하는 Number 타입.

 

연산의 개념이 중요 하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가 가능 하다.

 

산술 연산자 라고 부르며, 산술 연산자 기준으로 왼쪽의 값과 오른쪽 값을,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거나, 나눔으로써 하나의 값을 만든 다는 점에서,

 

이항 연산자 라고 한다.

 

 

5.

문자를 의미하는 String 타입.

 

문자열은 따옴표 ( " " ) 로 이뤄져 있다.

 

작은 따옴표 ( ' ' ) 를 사용해도 무방 하다.

 

하지만, 둘중에 하나로 시작하면, 끝맺음도 시작한것으로 맺어 줘야 한다.

 

문자열에는 .length 라는 유용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말 많은 기능이 존재 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String - JavaScript | MDN

String 전역 객체는 문자열(문자의 나열)의 생성자입니다.

developer.mozilla.org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length 와 같은 것들을 프로퍼티 == 속성 == Properties 라고 한다.

 

문자열의 길이가 27 인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밖에 여러가지 메서드를 알아 보자.

 

.toUpperCase() 이다.

 

문자열.toUpperCase() 의 형식으로 사용 한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결과가 대문자로 출력 된다.

 

.indexOf() 라는 메서드도 존재 한다.

 

괄호 안에 찾고자 하는 값을 넣는 식으로 사용 한다.

 

 

소문자를 o를 입력 하면, 4라고 뜨는 모습 이다.

 

왜 이렇게 뜨냐면, 처음 h를 기준으로 0이라고 기준을 잡고,

4번째 자리에 소문자 o가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h >> 0

e >> 1

l >> 2

o >> 4

 

소문자 l을 입력하면, h를 기준으로 처음으로 나오는 소문자 l이 2번째 인덱스에 있으므로,

2 라고 나오고, 

3번째 인덱스에 있는 l은 해당 속성으로는 찾을 수 없다.

 

 

없는 값을 입력 하면 어떻게 될까 ?

 

 

-1이 뜨게 된다.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1로 결과를 나타내 준다.

 

한글자 말고, 단어를 입력 해보자.

 

 

괄호 안에 world를 입력하면 6이 뜨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h >> 0

e >> 1

l >> 2

o >> 4

 

world >> 6

 

이를 통해, 띄워쓰기 (공백)을 포함해서 인덱스를 읽어 주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자바스크립트는 공백을 모두 읽는다.

 

만약에, 공백을 없애고 출력을 하고 싶으면 ?

>> .trim() 메서드를 사용 한다.

 

 

공백을 제거하고 출력 해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6.

위에서 1+1 은 산술연산자를 통해, 2로 값을 연산 해준다고 했다.

 

근데, '1' + '1' 은 작은 따옴표를 적어줬기 때문에,

숫자 1이 아니라, 문자 1로 인식 하게 된다.

 

그래서 '1' + '1' 은 2가 아니라 '11' 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