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국비)/Java 이론

IoC 로 컬렉션 프레임워크 호출 하기 (List / Map)

by Hwanii_ 2023. 8. 1.
728x90

모든 List들의 최상위 클래스인 List.

 

모든 Map들의 최상위 클래스인 Map.

 

applicationContext.xml

 

 

.xml 에서, List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나타낸다.

 

<bean class = "패키지명.자료형 (클래스명) id = "참조변수명">

 

setter를 사용 해야 하므로,

<property name = "프로퍼티명 (멤버변수명)"> 으로 작성 한다.

 

(getter을 작성한 이유는, Client 에서 getter 을 사용 하기 위해서..)

 

<list> 태그와 내부의 <value> 태그는 문법이니 외워서 사용 하기.

 

 

.xml 에서, Map은 위의 이미지와 같이 나타낸다.

 

<bean class = "패키지명.자료형 (클래스명) id = "참조변수명">

 

setter를 사용 해야 하므로,

<property name = "프로퍼티명 (멤버변수명)"> 으로 작성 한다.

 

(getter을 작성한 이유는, Client 에서 getter 을 사용 하기 위해서..)

 

<map> 태그, <entry> 태그, <key> 태그, <value> 태그 가 사용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 할 수 있다.

 

 

[ 참고 ]

 

1)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tb02 라는 ID를 (참조변수명 / 객체명) 가져와서,

TestBean02 타입의 참조변수 tb02에 다운캐스팅 해서 데이터를 저장 한다.

 

2) tb02 참조변수를 주체로 해서, getter을 호출 한다.

그래서, testMap 에 저장된 모든 키값 한쌍에 대한 데이터를,

Map<String,String> map 에 저장 한다.

 

(그냥 ArrayList<String> datas = mDAO.selectOne() 했듯이 똑같은 문법 이다)

 

3) 참조변수 map을 주체로 해서, keySet() 메서드를 호출한다.

이 keySet() 메서드는 map에 저장된 모든 키들을 가져오는 메서드 이다.

 

이 모든 키들을 Set<String> set 참조변수에 저장 한다.

 

4) 참조변수 set을 foreach문을 통해, 반복하며 출력 한다.

 

즉, set 변수에 저장된 모든 "키 (key)" 들을 하나씩 루프하면서 반복문을 실행 한다.

 

그러면 data 라는 변수에는 key 값이 저장되고 출력 되며,

 

5) 참조변수 map을 주체로 해서 get(data) 를 하면,

특정한 키 (루프하면서 꺼내지는 각각의 key 들) 를 사용해서,

키에 대한 값을 가져오는 메서드 이다.

 

6) map 에 키-값 들을 출력 하기 위한 방법으로, Set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Iterator을 사용 하여 출력 할 수도 있다.

 

Set은 Iterator을 구현 하고 있어서, Iterator을 사용해서 반복문을 수행 할 수 있다.

 

예시)

 

 

Set을 사용해 for문을 돌린 결과와 같게 된다.

 

반응형

'Java (국비) > Java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 (Model-View-Controller) 2  (0) 2023.05.27
MVC (Model-View-Controller)  (2) 2023.05.23
파일 입출력 간단 정리 2  (0) 2023.05.22
파일 입출력 간단 정리  (0) 2023.05.22
스레드 (Thread) 간단 정리 2  (0)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