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추상 클래스 :
객체화 하는것이 목표가 아니라, 설계를 하는것이 목표일 때 만드는 클래스.
특징 :
1. 추상클래스는 객체화가 불가능 하다. (인스턴스화가 될 수 없다)
2. 하위클래스들의 기준이 된다.
=> 단순 기준이 되는게 목표이기 때문에 객체를 만들 필요가 없는 개념 이다.
사용방법 :
class 앞에 abstract를 붙혀 준다 !
예시)

추상메서드 :
동일하게 메서드 앞에 abstract 를 붙히면 추상 메서드가 된다.
특징 :
1. Shape 클래스를 상속받은 모든 하위 클래스들은
abstract가 붙은 이 draw() 메서드를 무조건 사용 해야 한다는 특징을 갖게 된다.
2. 추상메서드는 중괄호 영역을 가질 수 없다. == 메서드 바디를 버린다.
이유 : 어차피 하위클래스에서 이 메서드를 재정의 해서 사용해야하므로, 기능을 여기에 구현할 필요가 없다.
예시)

이런식으로 각 하위클래스들 안에 draw()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해줘야 한다.
하지 않으면 에러가 뜨게 된다.
반응형
'Java (국비) > Java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렉션 프레임워크 (배열리스트 (ArrayList)) (0) | 2023.05.18 |
---|---|
컬렉션 프레임워크 (0) | 2023.05.18 |
(접근)제어자 private 과 getter,setter (0) | 2023.05.17 |
클래스에서의 타입 변환 (0) | 2023.05.16 |
상속 4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