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 파일을 압축 해제 한다.
그러면 위와 같이 server_dec 이라는 디렉토리가 생성 된다.
2. 아래의 경로에서 ./db2prereqcheck -l 을 입력 해서 사전 요구 사항을 체크 한다.
위와 같이 db2prereqcheck 라는 파일이 존재 한다.
위와 같이 ./db2prereqcheck -l 명령어를 입력 하면,
위와 같이 설치 해야할 패키지들이 출력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설치 되지 않은 패키지들이 출력 된다.
3. 패키지 다운 하기.
yum install -y [패키지명]
명령어를 사용 해서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 한다.
당연히, yum 패키지 명령어를 사용 할 수 있도록 관련 설정이 선행 되어 있어야 한다.
>> 외부 통신이 가능한 경우라고 가정 하면,
>> Red Hat License Subscription을 통해서 관련 설정을 진행 할 수 있다.
>> Red Hat Developer Program 이용 약관 | Red Hat 개발자
Red Hat Developer Program Terms and Conditions | Red Hat Developer
Red Hat Developer Program Terms and Conditions
developers.redhat.com
>> 스크롤 하단에 RED HAT DEVELOPER 라는 메뉴가 있다.
>> 설정 관련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작성 예정 이다.
암튼,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 하면 된다.
예)
yum install -y python2
yum install -y patch
..
4. 사전 요구 사항 체크시 발생 가능한 에러 정리
1)
DBT3514W The db2prereqcheck utility failed to find the following 32-bit library file: "/lib/libpam.so*".
>> 위 에러 발생 시 32-bit 라이브러리가 없어 발생하는 상황으로 무시 가능.
2)
DBT3613E The db2prereqcheck utility failed to verify the prerequisites for TSA.
Ensure your machine meets all the TSA installation prerequisites. ERROR : Requirement not matched.
>> TSAMP의 요구 사항으로 TSAMP를 설치 하지 않을 경우 무시 가능.
3)
DBT3507E The db2prereqcheck utility failed to find the following package or file: "".
>> 코드 결함으로 발생 무시 가능.
4)
DBT3563E The db2prereqcheck utility determined that SELinux is enabled, which is not supported with GPFS.
>> SELinux를 비활성화 하지 않아 발생하는 에러.
>> 비활성화 방법은 아래에 안내.
sestatus 명령어를 통해 SeLinux의 상태 확인 하기.
Mode from config file:
부분이 enforcing 으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미 설정을 한 상황이라 위의 이미지 에서는 disabled로 나오는 중)
중지 방법은 2가지가 존재 한다.
1) 영구 정지 방법 이다.
vi /etc/selinux/config 명령어를 입력 해서, enforcing 부분을 disabled로 변경 한다.
그런 다음에, systemctl reboot 명령어를 입력 해서, 서버를 재부팅 한다.
2) 임시 중지 방법 이다.
setenforce 0
또는,
setenforce Permissive
2개의 명령어 중 택 1 해서 설정 하면 된다.
'개념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VA Runtime Component 구성 하기 (1) | 2023.11.30 |
---|---|
ISVD (LDAP) 와 Apache Studio 연결 하기 (0) | 2023.11.30 |
ISVD (LDAP) GSkit 개념 및 GSkit 설치 방법 (0) | 2023.11.29 |
Linux 환경의 IP / 이더넷 / 서브넷마스크 / 브로드캐스트 (1) | 2023.11.29 |
ISVA (IBM Security Verify Access) 개념 (2)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