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멘토씨리즈 자바/이론

[핵심정리] 다형성과 타입 변환

by Hwanii_ 2023. 6. 2.
728x90

SECTION 11 - 다형성과 타입 변환
299 page.

 

1. 타입 변환

: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대표적인 타입 변환이 있다.

 

1) 자료형(타입) 변환

2) 클래스의 객체 타입 변환 ( == 참조변수의 형변환)

// 클래스의 타입 변환은, 상속 관계의 클래스들 간에서만 가능하다.

 

2. 클래스 자동 타입 변환

: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클래스 자동 타입 변환이라고 한다.

상속 관계에 있는 자식 클래스의 객체를 부모 타입의 객체로 변환한다.

(묵시적 형변환)

== 업 캐스팅

 

3. 클래스 강제 타입 변환

: 자식 객체가 부모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을 한 후, 다시 자식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강제 타입 변환이라고 부른다.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야만 타입 변환이 가능하다.

(명시적 형변환)

== 다운 캐스팅

 

4. 다형성

: 다형성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대표적인 특징중 하나이다.

하나의 타입으로 다양한 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5. 자바는 매개변수의 자료형/개수/순서를 기반으로 메서드를 구별하므로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 개 구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메서드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6. 부모 클래스에게 상속받은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자식 클래스용 메서드를 구현하고

자식 객체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오버라이딩된 메서드가 호출된다.

반응형

'멘토씨리즈 자바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정리] 컬렉션 프레임워크  (0) 2023.06.04
[핵심정리] 예외처리  (0) 2023.06.04
[핵심정리] 상속  (0) 2023.06.02
[핵심정리] 생성자  (0) 2023.06.02
[핵심정리] 메서드  (0) 202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