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멘토씨리즈 자바/이론

[핵심정리] 예외처리

by Hwanii_ 2023. 6. 4.
728x90

SECTION 14 - 예외처리
376 page.

 

1. 예외처리

: 프로그램 구동 중에 예외가 발생했을 경우, 프로그램의 갑작스러운 종료를 막고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2. Error / Runtime Error

: 프로그램에서의 오류는 Error와 Runtime Error가 있다.

Error는 수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오류를 의미.

Runtime Error는 예측할 수 있고 처리 가능한 오류를 의미한다.

 

3. try-catch

: 예외 처리는 try-catch 구문을 사용한다.

try 영역에서는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입력하며 catch 영역에는 발생 예상되는 예외 클래스를

매개변수로 선언하여, 예외 발생 시 처리할 코드를 입력한다.

 

4. catch 구문은 여러 개 사용하여 처리 가능 하다.

: 여러 개의 catch 문이 있더라도 차례로 하나씩 실행되며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

 

5. finally

: finally 키워드는 예외 발생 유무와 상관없이 실행된다.

꼭 무언가를 하고 싶을 때 finally 키워드를 사용하여 { } 안에 코드를 입력 하기.

 

6. throws

: throws 키워드를 사용하면 메서드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직접 처리하지 않고 호출한 곳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메서드 뒤에 throws 예외 클래스를 붙혀 사용 한다.

 

7. 문법적인 예외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프로그램의 규칙에 맞지 않거나

흐름에 문제가 생기면 사용자가 직접 예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