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rc > main > java
>>
JAVA 코드 공간이다.
Class.java 파일을 생성하는 공간 이다.
Controller, Model 파트 코드의 자리.
각 파트별로 패키지를 생성 하면 된다.
2.
src > main > webapp
>>
META-INF, WEB-INF 폴더는 건드리지 않는다.
이 자리는,
css 폴더,
images 폴더,
js 폴더,
.html 파일
등이 위치하는 자리 이다.
webapp 폴더 내부에 .html 파일을 생성한다.
View 파트 코드의 자리.
(플러그인의 경우 100% 프론트 이기 때문에, 여기서 하면 된다)
3.
< > 태그 요소 엘리먼트
블록
인라인
4.
webapp 에서 우클릭 > new > Other > HTML File > 파일명.html
5.
meta charset은 UTF-8로 고정한다.
6.
이클립스 상단의 window > Preferences > Server > Runtime Environment에서
추가한 Tomcat을 확인할 수 있다.
7.
form 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action 속성에 설정한 경로에
데이터가 도착하게 된다.
디폴트는 GET method 이다.
8.
GET 방식 (method) 으로 전송하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보안에 불리하다.
너무 큰 데이터는 전송이 불가능 하다.
Read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메서드를 구현할때 보통 GET 방식을 사용 한다.
9.
POST 방식 (method) 으로 전송하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보안에 유리하다.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전송이 가능 하다. == 데이터 크기의 제약이 없다.
Create, Update, Delete 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메서드를 구현할때 보통 POST 방식을 사용 한다.
10.
url
>>
경로?변수명=값&변수명=값& ..
&로 연결되고, 사이트가 허용한 길이까지 여러개가 가능 하다.
'Front-end (국비) >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30 메모 2 (JSP_MVC 패턴으로) (0) | 2023.07.01 |
---|---|
23.06.30 메모 (JSP_MVC 패턴으로) (0) | 2023.06.30 |
메모 (0) | 2023.06.28 |
23.06.28 메모 (0) | 2023.06.28 |
<p> </p> 태그 & 블록 요소 & 인라인 요소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