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야간 모드와 주간 모드를 버튼을 통해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기.
1)
<input> 이라는 태그가 필요 하다.
2)
button 이라는 속성이 필요 하다.
3)
button 이라는 속성의 값을 의미하는 value 속성이 필요 하다.
4)
onclick 이라는 속성이 필요 하다.
>>
onclick 이라는 속성은 다음과 같다.
onclick 이라는 속성의 값으로는 자바스크립트가 와야 한다.
즉, onclick 이라는 속성의 값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넣으면,
사용자가 onclick 의 속성이 위치하고 있는 버튼을 클릭했을 때,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 하게 된다.
5)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야간 모드시.
document.querySelector('태그명').style.backgroundColor = 'black';
document.querySelector('태그명').style.color = 'white';
주간 모드시.
document.querySelector('태그명').style.backgroundColor = 'white';
document.querySelector('태그명').style.color = 'black';
여기서, document 란, '이 문서' 를 의미 한다.
즉, '이 웹 페이지' 이다.
주 / 야 간 모드 모두, 뒷 배경색이 바뀌어야 하는데,
그래서, 코드가 위와 같은 것이다.
('태그명') 에 당연히, ('body') 가 들어 가야 하고,
.style 을 붙힘으로써,'이 문서' 의,'(body') 태그 영역의,style 속성 값으로,배경색을 black (white) 으로 지정 할거야 ~
라는 코드가 된다.
style.color = 'black (white); 라는 코드는, 텍스트 컬러의 색을 바꾸는 CSS 코드 이다.
style 속성값으로는 반드시 CSS 코드가 온다고 약속 되어 있다.
6)
4), 5) 에서의 개념을 정리 하면, 아래와 같다.
' onclick 이라는 속성의 값으로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와야 한다. '
' style 속성값으로는 반드시, CSS 코드가 와야 한다. '
( CSS 언어의 목표는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는데 최적화돼 있다. )
2.
위의 내용들을, 다시 한번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 하는 언어 이다. == 동적 언어 이다.
2)
HTML 태그 언어로만 구성되어 있는 웹 페이지는, 화면에 한번 출력 되면,
자기 자신을 절대로 바꿀 수 없다. == 정적 언어 이다.
3)
자바스크립트는 HTML을 제어 하는 언어 이다.
정적인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바꿔주니까~
3.
그런데, 이 자바스크립트를 HTML 위에서 사용 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시작된다는 사실을 알려 줘야 한다.
그때 사용 하는 태그가 <script> 태그 이다.
웹 브라우저는 <script> 태그 내부에 있는 코드를,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해석 한다.
그냥 그렇게 약속이 되어 있다.
'생활코딩 HTML + CSS +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데이터 타입 - 문자열과 숫자 (0) | 2023.07.10 |
---|---|
05 HTML과 JS의 만남 : 콘솔 (0) | 2023.07.02 |
04 HTML과 JS의 만남 : 이벤트 (0) | 2023.07.02 |
03 HTML과 JS의 만남 : <script> 태그 (0) | 2023.07.02 |
01 수업 소개 ~ 02 수업의 목적 (1)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