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 Command
현재 경로
.
현재 경로
이전 경로
..
이전 경로
절대 경로
예시) /opt/ibm/ldap/V10/bin/
opt 폴더의 ibm 폴더의 ldap 폴더의 V10 폴더의 bin 폴더
상대 경로
예시) /../bin/
이전 경로의 bin 폴더
File Command
파일 리스트
ls, ll
Directory List (디렉토리 리스트)
(List 의 약어)
참고 : 숨겨진 파일을 포함 해서 모든 파일을 보이게 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ls -a
현재 경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경로 출력)
pwd
현재 경로
(Print Working Directory 의 약어)
폴더 생성
mkdir [directory name]
[directory name] 이라는 이름으로 폴더 생성
(Make Directory 의 약어)
파일 삭제
rm [file / directory]
[file / directory] 안에는 해당 폴더 내의 파일 이름을 입력 해야 한다. 또는 경로 (폴더) 를 입력 해야 한다.
파일 삭제
(Remove의 약어)
참고 : 파일 강제 삭제는 아래와 같다.
rm -f [file]
위의 명령어를 사용 하면, 해당 파일 또는 디렉토리 (폴더) 가 강제로 삭제 된다.
(f는 Force 의 약어)
파일 복사
cp [원본 파일 / 디렉토리] [대상 경로]
원본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대상 경로로 복사 하기
(경로 지정 필수)
(Copy 의 약어)
폴더 복사
cp -r [directory1] [directory2]
directory1 을 directory2 로 복사
(Copy 의 약어)
파일 / 폴더 이동
mv [file1] [file2]
file1 을 file2 로 이동
(Move 의 약어)
파일 보기
cat [file]
파일 내용 보기
실시간 파일 보기
tail -f [파일 이]
로그와 같은 것들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파일의 끝 부분을 보여주는 명령어 라서 tail 이라고 한다)
Compression Command
tar
.tar.gz 파일을 압축 해제
예시) tar -xvf 6.0.16.26-ISS-JAVA-LinuxX64-FP0025.tar
-x
tar 압축 풀기
-v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
-f
압축을 풀 파일 이름을 지정 (기본 옵션)
unzip
zip 파일을 압축 해제
예시) unzip ApacheDirectoryStudio-2.0.0.v20210717-M17-win32.win32.x86_64.zip
그외에 자주 사용되는 tar 명령어의 옵션은 아래와 같다.
예시) tar -cvzf archive.tar.gz directory/
아카이브 생성 및 압축
-cvf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 하고 작업 과정을 자세하게 출력
-z
gzip 또는 bzip2 를 사용 하여 압축
-f
아카이브 파일의 이름 지정
예시) tar - xvzf archive.tar.gz
아카이브 해제
-x
아카이브를 해제 (압축 해제)
Network Command
IP 패킷 확인
ping
패킷 기반 ICMP 응답 확인
(ping 명령어를 통해 다른 호스트에게 ICMP 패킷을 보내고 해당 호스트로부터 오는 응답을 확인 하는 것)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예시)
ping 8.8.8.8
ping google.com
ping 11.11.11.154
>> ping [호스트 또는 IP 주소]
IP 및 Port 확인
telnet [host] [port]
해당 host의 port와 통신이 되는지 확인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Telnet 을 사용 하여 원격 호스트에 로그인 하거나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하기 위한 명령어)
(Telnet 은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로, 주로 터미널 세션의 원격을 제어 하기 위해 사용 된다)
예시)
telnet 8.8.8.8 443
telnet google.com 80
telnet 11.11.11.154 1389
(어떤 특정한 IP 주소에 n번 포트에서 실행 중인지를 확인)
>> telnet [호스트 이름 또는 IP 주소] [포트 번호]
System Command
ps
현재 활성 프로세스 확인 (스냅샷으로 제공)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표시 한다 -e 옵션을 사용 하면 시스템 전체의 프로세스를 표시 할 수 있다)
(Process Status 의 약어)
(스냅샷 == snapshot : 특정 순간의 시스템 또는 데이터 상태를 기록한 정적의 이미지)
top
현재 실행 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시스템의 상태 및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하는 대화형 도구가 열린다)
(CPU 사용량 / 메모리 사용량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 / 등등 을 확인)
(q 를 입력 해서 나갈 수 있다)
'Rinux (리눅스) >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자주 사용 하는 명령어 정리 3 (0) | 2023.11.24 |
---|---|
리눅스 자주 사용 하는 명령어 정리 2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