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inux (리눅스)/명령어

리눅스 자주 사용 하는 명령어 정리 3

by Hwanii_ 2023. 11. 24.
728x90

1. Root 권한으로 전환

 

sudo su -

 

 

필요한 작업을 마치고 Root 권한을 종료

 

exit

 

 

 

2. 특정 디렉토리에 권한 부여 하기

 

1) 현재 디렉토리의 권한 확인

ls -ld 디렉토리 경로

 

예) 현재 디렉토리 경로 권한 확인

ls -ld .

 

2) 특정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 부여

chmod a+w 디렉토리 경로

 

참고 : a+w 는 모든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을 부여하는 옵션

참고 : a+rwx 는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옵션

 

a :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3) 권한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

ls -ld 디렉토리 경로

 

 

 

3. 웹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가져 오기.

 

wget은 World Wide Web을 get한다는 의미 이다.

 

기본적으로,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지원 한다.

 

wget [옵션] [다운로드할 파일 또는 URL]

 

예)

 

 

위와 같이 wget 하고, 옵션 없이 바로 다운로드할 파일 또는 URL을 작성 하면,

현재 위치 하고 있는 디렉토리에 해당 특정 파일이 다운로드 되게 된다.

 

 

 

4. 특정 파일 실행 시키기

 

실행시킬 파일이 위치하는 경로로 이동 한다.

 

예시)

 

 

실제로 그 경로에 실행시킬 파일이 존재 하는지를 확인 한다.

 

 

 

파일이 존재한다면,

 

./특정파일 start 명령어를 입력 해서 실행 한다.

 

예시)

 

./catalina.sh start

 

 

참고로 start 명령어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것이고,

 

그냥 실행을 하려면 ./특정파일 run 명령어를 입력 하면 된다.

 

 

참고로, 실행을 중단 하려면 ctrl + c 를 입력 하면 된다.

 

 

 

그리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되고 있을 때,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 한다.

 

./특정파일 stop

 

 

 

 

5. 리눅스 운영체제 에서 방화벽 설정 하기

 

RHEL8 기준 으로, 방화벽 설정은 아래와 같다.

 

1) 8080 포트를 열어주기.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2) reload 하기.

firewall-cmd --reload

 

3) check 하기.

firewall-cmd --permanent --list-all

 

예시)

 

 

참고 : 리눅스 운영체제는 거기만의 고유한 방화벽이 존재 한다고 보면 된다.

 

만약에, 11.11.11.206 이라는 주소로 리눅스 운영체제로 서버를 생성 했으면,

 

로컬 PC가 해당 주소로 접근 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의 포트 설정을 해줘야 한다.

 

윈도우에서 가상의 리눅스 운영체제로 서버를 생성 했다고 하더라도,

 

리눅스 서버는 별도의 서버 이기 때문에, 방화벽 설정을 윈도우 방화벽으로 하면 안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