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ont-end (국비)/이론

23.06.21 수업 정리

by Hwanii_ 2023. 6. 21.
728x90

1.

CSS 스타일 적용 하기.

 

외부 > 내부 > 인라인

 

인라인으로 갈수록 (뒤로 갈수록) 우선 순위가 높아 진다.

 

 

2.

원하는 태그 내부에, 즉, 인라인 안에 직접 색 지정을 하는 방법으로 스타일 적용이 가능 하다.

 

예를들어, <p> 태그가 있으면,

<p> 태그 자체를 요소라고 말한다.

 

이때, p { } 해서 지정하는것을, 요소 선택자 라고 부른다.

 

그러면, p라는 태그명을 가진 모든 요소에 내부의 기능이 적용 된다.

 

 

 

3.

다양한 선택자

 

근데, 각 요소들마다 다르게 적용을 하고 싶으면,

태그에  class 이름 또는 id (pk) 이름을 지어준다.

 

그렇게 해서, 선택자에서 원하는 기능을 적어주면 된다.

 

pk는 #으로 해야하고,

class는 .으로 한다.

 

유일하면 pk로 처리하고,

2개이상이면 class로 처리한다.

 

 

 

 

4.

다양한 선택자_ 하위 선택자, 자식 선택자

 

 

 

 

이미지와 같이 동그라미 점이 찍히게 되는 태그가

<ul> 이다.

 

세로로 리스트 나오게 하는 태그가

<li> 이다.

 

동그라미 점 대신에 숫자로 나오게 하는 태그는

<ol> 이다.

 

 

5.

다양한 선택자_그룹 선택자

 

sql 문의 * (와일드카드) 처럼 별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 별을 달아 놓으면 페이지에 있는 모든 요소 (태그)를 전부 확인한다.

 

 

 

6.

가상 클래스

 

: (콜론) 이 있는것은 가상 클래스를 의미한다.

 

a:hover

>> 무언가 행동을 했을때 (마우스를 가리켰다던지 등등) color가 바뀌도록 하는 방법.

 

 

 

 

7.

블록 요소를 인라인 요소로 변경 하기.

 

 

 

8.

세로 스크롤

 

 

 

 

 

8.

반응형 미디어 쿼리

 

 

@ media 

 

>> 참고 하기.

 

 

9.

애니메이션 효과 1

 

 

 

 

 

 

 

10.

 

 

@keyframes 

 

>>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데 사용.

>> 이름이 필요하다.

>> test로 지었다.

 

translate(x,y)

>> x, y 좌표.

>> 어디까지 움직일지 좌표점.

 

animation-iteration-count : infinite;

>> 무한

 

 

 

반응형

'Front-end (국비)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6.22 수업 정리  (0) 2023.06.22
JavaScript 에러  (0) 2023.06.22
시맨틱 태그  (0) 2023.06.20
table / colspan / rowspan / tr / td  (0) 2023.06.20
23.06.20 수업 정리  (0) 202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