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20 [핵심정리] 예외처리 SECTION 14 - 예외처리 376 page. 1. 예외처리 : 프로그램 구동 중에 예외가 발생했을 경우, 프로그램의 갑작스러운 종료를 막고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2. Error / Runtime Error : 프로그램에서의 오류는 Error와 Runtime Error가 있다. Error는 수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오류를 의미. Runtime Error는 예측할 수 있고 처리 가능한 오류를 의미한다. 3. try-catch : 예외 처리는 try-catch 구문을 사용한다. try 영역에서는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입력하며 catch 영역에는 발생 예상되는 예외 클래스를 매개변수로 선언하여, 예외 발생 시 처리할 코드를 입력한다. 4. catch 구문은 여러 개 사용.. 2023. 6. 4. MVC (Model-View-Controller) 과제 2 웹 크롤링을 추가해서 연습. View package view;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model.MemberVO; import model.MusicVO; public class ClientView { //[멤버변수] private static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함수] public int tryCatch() { // try-catch int retry = 0; while (true) { try { if(retry != 0) { System.out.print("재"); } System.out.print("입력 : "); int action = sc.nextInt(); i.. 2023. 6. 4. MVC (Model-View-Controller) 과제 2 웹 크롤링을 추가해서 연습. 크롤링 클래스 package model;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org.jsoup.Connection; import org.jsoup.Jsoup; import org.jsoup.nodes.Document; import org.jsoup.nodes.Element; import org.jsoup.select.Elements; public class Crawling { public static int PK = 1; public static int cnt = 0; public static ArrayList sample() { final String.. 2023. 6. 4. [핵심정리] 다형성과 타입 변환 SECTION 11 - 다형성과 타입 변환 299 page. 1. 타입 변환 :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대표적인 타입 변환이 있다. 1) 자료형(타입) 변환 2) 클래스의 객체 타입 변환 ( == 참조변수의 형변환) // 클래스의 타입 변환은, 상속 관계의 클래스들 간에서만 가능하다. 2. 클래스 자동 타입 변환 :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클래스 자동 타입 변환이라고 한다. 상속 관계에 있는 자식 클래스의 객체를 부모 타입의 객체로 변환한다. (묵시적 형변환) == 업 캐스팅 3. 클래스 강제 타입 변환 : 자식 객체가 부모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을 한 후, 다시 자식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강제 타입 변환이라고 부른다.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야만 .. 2023. 6. 2. [핵심정리] 상속 SECTION 10 - 상속 272 page. 1. 상속 : 부모 (역할을 하는) 클래스가 자식 (역할을 하는) 클래스에게 클래스 멤버를 물려주는 것을 상속 이라고 한다. 클래스 멤버는 클래스 변수와, 클래스 메서드를 의미한다. 2. 자식 클래스 선언 : extends 키워드를 사용해 상속받을 클래스를 지명할 수 있다.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모든 멤버를 그대로 가져다 쓸 수 있다. class A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에서 지명받기 전에는 부모 클래스 역할을 하지 않는다. ... } class B extends A {//B 클래스에서 extends A를 작성함으로써 A는 B의 부모 클래스가 된다. ...//반대로 B 클래스는 A 클래스의 자식 클래스가 된다. } 3. super() : 자식.. 2023. 6. 2. [핵심정리] 생성자 SECTION 09 - 생성자 243 page. 1. 생성자 : 클래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생성자는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어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하는 특별한 메서드 이다. 2. 생성자의 기본 구조 : 생성자는 일반 메서드와 달리 반환 타입이 없다. 메서드 이름은 클래스 이름과 동일 하다. 클래스명 (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3. 생성자 호출 : 생성자를 호출할 때는 new 키워드를 함께 사용한다. 클래스명 객체명 = new 클래스명(); 4. 생성자 오버로딩 : 매개변수의 개수와 자료형의 형태를 달리하여 생성자를 여러 개 선언할 수 있는데, 이를 생성자 오버로딩 이라고 합니다. 5. this : this 키워드로 객체 자기 자신 스스로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필드 (멤버변.. 2023. 6. 2. 연산자 ==, equals() 메서드 메모 Test 라는 클래스와, 멤버변수로 name과 num을 가지고 있는 상황. 참조변수 test1과 test2는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둘을 비교하면 무조건 다르다고 뜬다. 그래서 만약에, 위와 같이 포켓몬을 비교하려고 하는데, 예를들어 포켓몬 둘이 피카츄로 같은 상황. equals() 메서드를 사용했을 때 같다고 나오게 하고싶으면 equals()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하면 된다. Pokemon의 이름과 내가 비교하려고 하는 대상의 이름이 같아? 오버라이딩을 통해 true가 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근데, 주소를 비교하는 상황이 아니라, 값을 비교하는 상황이라면, 주체가 객체가 아니고 String이나 int 등등이면 값을 비교하기 때문에 오버라이딩을 하지 않고서도 값이 같다고 나오는걸 확인 할 수 있다. 즉.. 2023. 6. 2. [핵심정리] 메서드 SECTION 08 - 메서드 223 page. 1. 메서드 : 메서드란, 클래스 안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코드들을 하나의 블록으로 따로 묶어 놓은 집합을 말한다. 메서드를 구현함으로써 특정 기능이 여러번 필요할 때, 코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 모듈화. 2. 메서드의 기본 구조 : 메서드는 매개변수 (Parameter)를 받아서 블록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접근 제한자 반환 타입 메서드 이름(자료형 변수명1, 자료형 변수명2 ...) { // 기능을 수행할 코드들 } 3. 메서드 호출 : 메서드는 또 다른 메서드에서 호출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메서드가 있는 클래스 참조변수 = new 클래스(); 참조변수.메서드 이름(); (단, 같은 클래스에 있는 메서드를 호출할 때.. 2023. 6. 1. 자바에서 웹 크롤링 해보기 자바로 웹 크롤링을 해보기 라이브러리 ? 1. 자바 코드 묶음 (.jar) 2. 미리 구현한 코드를 제공하는 파일. 3. 라이브러리 분석 XXX (이미 완벽한 코드를 배포한 것이기 때문에 굳이 분석할 이유가 없다 !) 따라서, 라이브러리를 잘 활용하는것에 포커스를 맞춰야 한다. 4. Jsoup 클래스는 자동 import 불가능 하다. 자바에서 기본 제공 하는 클래스가 아니기 때문 이다. 따라서 라이브러리를 추가 해야 한다. https://jsoup.org/download 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jar 파일) 외부의 jar 추가를 하면 자동 import가 가능해진다. [ Console ] indexOf 메서드랑 substring 메서드랑 조건에 맞게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원하는 값만 구해낼 수 있.. 2023. 5. 31.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8 다음